기본 타입 - 총 8개
기본 타입 | 타입 | 분류 | 예시 |
byte | 정수 | byte value = 123; | |
short | short value = 1234; | ||
int | int value = 123456; | ||
long | long value = 12345678999l; long value = 12345678999L; |
||
char | 문자 | char value = 'A' | |
float | 실수 | float value = 1.23f; float value = 1.23F; |
|
double | double value = 123e-2; | ||
boolean | 논리 | boolean value = true; |
* 주의점
- long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할 땐 l 또는 L을 붙여야 한다.
- float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할 땐 f 또는 F를 붙여야 한다.
- String은 기본 타입이 아닌 클래스에 속하며, 큰따옴표("")를 사용한다.
상수
- 상수: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
- 앞에 final을 붙여 선언.
- 값을 딱 한번만 대입할 수 있음
- 값이 정해지면 이후 다른 값으로 변경이 불가능.
- 보통 변수명으로 대문자를 사용.
final int MAX_VALUE = 17;
타입 변환
1. 자동 타입변환 (묵시적 타입 변환)
- 값 범위가 작은 타입을 큰 타입으로 대입하는 경우
short shortValue = 1234;
int intValue = shortValue;
System.out.println(intValue); //1234, int타입으로 변환
- 더 정밀한 타입으로 대입하는 경우
int intValue = 123456;
float floatValue = intValue;
System.out.println(floatValue); // 123456.0, float타입으로 변환
- 연산하는 경우
short shortValue = 1234;
int intValue = shortValue;
System.out.println(shortValue + intValue); // 1234690, int
int intValue = 123456;
float floatValue = intValue;
System.out.println(intValue + floatValue); // 123457.23, float
2. 강제 타입변환 (명시적 타입 변환)
- 강제로 타입을 변환하는 것.
- 캐스팅 연산자에 괄호() 사용
- 괄호 안에는 변환할 타입을 입력
int intValue = 1234;
short shortValue = (short)intValue;
System.out.println(shortValue); // 1234 출력
float floatValue = 1.23f;
int intValue2 = (int)floatValue;
System.out.println(intValue2); //1 출력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기초 6: 참조 변수 (0) | 2023.01.04 |
---|---|
java 기초 5: 클래스와 객체 (0) | 2023.01.03 |
java 기초 4: 반복문(while, do~while, for)과 탈출(break, continue) (0) | 2023.01.02 |
java 기초 3: 조건문(if, switch) (0) | 2023.01.02 |
java 기초 2: 연산자와 항 (0) | 2023.01.02 |